Polyethylene Sheet Lining
아기 젖병이나 샘물병 등에 쓰이는 소재로서 유연성을 지닌 위생적인 소재이다. 방수구조체와 담수부와의 완전격리로 구조체의 부식, 중화를 막을 수 있다.
위생 및 안전성
시공환경(표면처리, 습윤상태, 외기온도, 양생조건, 시공숙련도)에 따른 품질 편차없이 신속한 시공 및 담수가 가능하고 작업 시 유해가스 발생이 없어 작업자의 안전이 보장된다.
시공성
기존의 대다수 방수재료로 보수공사를 할 경우 재시공시의 철거 비용과 폐기물 처리비용 등의 추가적인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는데, "PE-시트라이닝 공법"은 기존 배수지의 방수재질(몰탈)의 철거가 불필요하며 공사비 등의 절감이 가능하다.
경제성
한 번의 시공으로 추후 재시공의 필요가 없으며 청결성 및 품질이 유지된다.
유지관리성
방수체 | 콘크리트 구조체를 기본적 방수체로 하여 내구성, 경제성, 안전성 확보 |
---|---|
방수재료 | 폴리에틸렌을 주원료(요구에 따라 향균제 첨가)로 두께 3~4mm, 폭 2,050mm의 시트 형태 |
고정방법 | 콘크리트 구조물과 가장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는 기계식 고정방법을 사용하여 STS고정구를 콘크리트면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하고, 그 위에 PE-시트를 부착함 |
방수재료의 연결융착 방법 |
자동융착: 방수 시트의 연속이음 부분은 자동융착기로 온도, 압력, 속도를 조합하여 융착, 접합부의 완벽한 수밀성을 보장 |
수동융착: 모서리 부분 등은 사출식 열풍 겹침융착을 하여 수압에 의한 시트의 파손을 방지하고 겹침부분의 끝단부분은 시트와 동질의 용접봉을 덧살 융착하여 수밀성이 확보되도록 함. | |
고주파융착: 콘크리트면에 부착한 고정구와 그 위에 형성한 시트를 고주파 융착기로 융착, 고정하여 내구성을 확보하도록 함. |